자살 많이 하는 지역은? 도시와 시골, 수도권과 지방

우리 사회는 연령별 자살률에 대한 관심이 높지만, 지역별 자살률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편이다. 국토가 좁다고 해도 도시와 시골의 구분은 명확하며, 지역마다 문화적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자살률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번 글에서 지역별 자살률, 변화량, 제한적으로 성별 자살률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 어느 지역에서 자살률이 높은가?
  • 지역별 자살률은 최근 어떻게 변화했는가?
  • 지역별 자살률 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일까?
  • 성별에 따른 지역별 자살률 차이가 존재하는가?

참고로 모든 자료는 ‘연령표준화 자살률’을 사용했다. 완벽하게 인구 구조에 따른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지는 모르지만, 단순히 시골 지역이 고령화로 인해 자살률이 높은 것은 보정이 되어있는 자료이다.

지역별 자살률은 2013년부터 2022년 수치의 평균치를 사용하였으며, 변화량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평균과 2018년과 2022년의 평균을 비교하여 만들었다.

지역별 자살률 (2013~2022)

지역별 자살률 지도를 만들었을 때, 지역에 따른 자살률의 차이를 볼 수 있다. 특히, 충청도와 강원도에서는 자살률이 유독 높게 나타났다. 반면, 수도권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자살률을 보였다.

충청도와 강원도의 높은 자살률: 두 지역은 고령화가 진행중이, 젊은 인구 유출이 심한 지역이다. 강원도의 경우 다른 지역보다 상황이 열악하지만, 충청도의 경우 반대의 경향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이 이유만으로 두 지역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수도권의 낮은 자살률: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 수준, 접근성이 좋은 의료 서비스 등이 자살률 감소에 기여했다고 볼 수는 있지만, 이 자료에서 단순히 그러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소백산맥 부근의 자살률이 낮은 것을 고려한다면 다른 이유의 가능성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시군구 별 연령표준화 자살률, 전체
시군구 별 연령표준화 자살률, 경기
시군구 별 연령표준화 자살률, 충청 강원
시군구 별 연령표준화 자살률, 전라 경상

시군구별 자살률을 정리한 뒤 낮은 지자체는 왼쪽 높은 지자체는 오른쪽으로 정렬한 뒤, 지역별로 색을 입힌 차트다. 경기 지역, 전라-경상 지역, 충청-강원 지역 순서로 자살률이 심각한 지자체가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충청도-강원도 보다 전라도-경상도의 지자체 수가 많음에도 차트 오른편에서 밀도가 낮은 것을 볼 수 있는데 같은 시골이라 하더라도 상황이 다름을 알 수 있다.

시군구 별 연령표준화 자살률, 시군구

시군구로 나누어 생각을 한다면, 광역시나 대도시의 구가 비교적 자살률이 낮으며 군으로 갈수록 자살률이 높은 지자체가 많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이 자료는 연령표준화 자료이기 때문에, 단순히 군 지역이 고령화 지역이기에 높다고는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지역별 자살률 변화량

앞서 말했듯이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평균과 2018년과 2022년까지의 평균의 차이를 자료로 사용을 했다. 변화량의 경우 지도에서는 특징이 두드러지게 보이지는 않는다.

지역별 변화는 그렇게 크지 않은 면이 있지만 차트를 만들어서 보았을 때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이라는 차이가 발생했다.

시군구 별 연령표준화 자살률 변화량, 전체
시군구 별 연령표준화 자살률 변화량, 경기
시군구 별 연령표준화 자살률 변화량, 충청 강원
시군구 별 연령표준화 자살률 변화량, 전라 경상
시군구 별 연령표준화 자살률 변화량, 시군구

자살률 변화량을 살펴보면, 수도권은 자살률이 개선되고 있지만, 다른 지역들은 평균적으로 개선이 되지 않는다. 시군구로 나누어보면 군 사이 자살률의 편차가 크게 나왔다. 이는 군 지역의 인구가 적은 편이기에 나온 현상이 아닌지 추측된다.

지역별 성별 자살률 경향

마지막으로 성별 자살률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자살률은 상관관계가 있다. 다만 시군구로 나누었을 때 군에서는 이러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는다.

마무리

이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지역별 자살률은 도시와 시골, 그리고 특정 지역에 따라 다르며, 둘째, 시간이 지나면서 자살률의 변화는 수도권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 다른 지역에서는 크게 변화하지 않는 특성 있다. 마지막으로 성별에 따른 자살률은 일반적으로 상관관계에 있으며 군 지역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발견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다만 발견된 현상은 있지만 그 원인에 대해서는 알만한 자료나 데이터를 만들지는 못했다. 예를 들면 충청도와 강원도에서 자살률이 높게 나타나는 이유와 수도권의 자살률 감소의 이유가 그러할 것이다.

추가로, 이 자료는 ‘연령표준화 자살률’을 기반으로 하므, 연령에 따른 차이는 배제되어 있다. 그러나 그 밖의 변수는 분석되지 않았으며 그에 따른 영향이 배제된 것은 아니기에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해야 좀 더 정확해질 것이다.

출처와 데이터

행정경계(시군구) 링크

통계청,「사망원인통계」, 2022, 2024.03.06, 시군구/사망원인(50항목)/성/ 사망자수, 사망률, 연령표준화 사망률(1998~) 링크

데이터


Comments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